2013.7월 금통위 결과 분석 및 향후 전망

2013-07-12김승룡

목차

 

금통위는 정책효과의 본격화, 완만한 경기회복 기대 등을 고려해 기준금리를 동결
§ 금통위는 추경 및 기준금리 인하 효과, 대내외 경기의 완만한 회복 기대 유지 등을 감안해 기준
금리를 현수준인 2.50%로 동결
§ 특히 국내 경제의 GDP갭률은 세계경제의 더딘 회복세 등으로 상당기간 마이너스 상황이 유지될
전망이나 그 폭은 점차 축소될 것으로 예상
§ 한편 시중금리는 한은의 기준금리 동결의 영향은 제한적인 반면 금통위 직전 버냉키 의장 발언
에 따른 美양적완화 축소 우려 진정으로 큰 폭 하락


한은은 경제 활성화 정책효과 등을 고려해 금년 및 내년 성장률 전망을 상향 수정
§ 한은은 세계 경제성장률 하향 조정에도 불구하고 원유 도입단가 하락, 경제 활성화 정책 시행 등
을 고려해 금년 및 내년 성장률 전망을 0.2%p씩 상향 조정
§ 최근의 실적이 부진한 소비와 설비투자는 하향 조정되고 건설투자는 SCO예산 확대로 상향 조정
§ 한편 금년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은 4월 전망에 비해 농산물 및 국제원자재 가격 하락 등 공급
측면에서의 물가압력 축소로 큰 폭 하향 조정(2.3% → 1.7%)


기준금리는 경기회복 기대, 美양적완화 축소 논란 등으로 동결 기조 지속 예상
§§ 기준금리는 정책효과와 대외여건 개선에 따른 완만한 경기회복 기대, 미국 양적완화를 둘러싼 불
확실성 등으로 상당기간 동결 기조가 지속될 전망
§ 미국 경제는 주택 및 고용시장 호전, 기업투자심리 개선 등으로 회복세가 지속될 전망이고, 중국
경제는 당초보다 둔화될 것으로 보이나 견조한 수준의 성장세를 유지할 전망


한편 대외 불안요인 및 국내 성장 경로 유지 여부 등에 대한 모니터링 필요
§ 국내 경제 펀더멘털 고려시 美양적완화 축소에 따른 자본이탈 가능성은 제한적이나 금리급등시
신용공급 정책 활용 가능성은 염두에 둘 필요
§ 한은이 경제성장률 전망을 상향 조정했으나 美통화정책 불확실성 및 중국 경기둔화 가능성 등
을 고려할 때 국내 경제가 현재의 성장 전망 경로를 유지할 수 있을지 주목할 필요

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