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전체 (12)
-
글로벌
트럼프발 관세 충격, 베트남 경제 뒤흔드나
■ 트럼프, 대미 무역흑자 증가와 中 우회 수출 등을 명분으로 베트남에 고관세 부과■ 예상을 뛰어넘는 고관세 부과 소식에 베트남 금융시장 변동성이 확대■ 시험대 위에 올라선 베트남의 ‘대나무 외교’: 흔들리는 정치적 안정성■ 수출·투자 등에 직격탄을 맞으면서 올해 경제성장률 목표 달성에 ‘빨간불’■ 관세발 공급망 재편은 베트남에 불리하나, 단기적 영향은 제한적■ 와칭포인트 대미협상 : ① 결과, ②베-중 관계 변화, ③5월 아세안정상회의2025-04-25장혜원 -
글로벌
(하나Knowledge+) 정상화의 문턱에 선 일본
■ 정상화의 신호가 감지되기 시작한 일본 경제■ 일본 경제 정상화의 4가지 신호■ 지속가능한 정상화를 위해 성장동력 발굴과 생산성 개선 필요■ 일본 경제는 한국 경제의 ‘반면교사’로 중요한 교훈을 제시2025-04-25김영준 -
글로벌
트럼프는 왜 10년물 금리에 주목할까?
■ 美 금리는 트럼프 당선 직후 관세發 인플레이션과 장기물 공급 확대 우려로 상승■ 트럼프 취임 이후, 국채발행 만기 조절과 관세發 경기둔화 우려로 하락 전환■ 정부 지출 확대 및 금리 상승 發 이자비용 증가로 재정적자 부담이 높은 상황■ 펜더믹 이후 국채 발행 증가와 이자비용 급증으로 美 재정 건전성에 대한 의구심 증대■ 상당 기간 단기물 중심의 발행 구조와 함께 장기 금리 하락 유도가 불가피■ 장기금리 하락 유도에도 공급물량 확대에 따른 수급 주체 확보는 또 다른 변수■ 미국채 단기물 투자기관인 MMF와 헤지펀드의 수요는 지속 가능 ■ 반면 장기국채의 주요 투자처인 해외·연준 등의 수요 확대는 쉽지 않은 상황■ 금리 하락 유도 및 신규 수요 창출 등 장기채 확대 대응방안 모색이 불가피2025-04-16김완중, 민현하 -
글로벌
다시, 트럼프 시대 : 한국에 25% 상호관세 부과
■ 모든 국가에 대해 10~49%의 상호관세를 발표, 한국은 일본·EU 등보다 높아■ 미국 충격은 최소화 하도록 설계, 중국 영향력 축소를 위해 아시아에 집중 포화■ 대미수출 10% 이상 감소 예상, 상호관세와 달리 품목관세는 협상여지 낮아 우려■ 예상보다 강력한 관세에 따른 직간접적 효과로 국내 경제의 하방 리스크 확대■ 경쟁국대비 관세율을 얼마나 낮출 수 있는지가 관건, 이제부터가 본 게임2025-04-03오유진, 정유탁 -
글로벌
다시, 트럼프 시대 : ESG의 ES 걷어내기
1. 미국의 변화2. 국제사회의 반응 및 글로벌 ESG 트렌드 전망3. 한국 정부의 인식과 국내 기업의 대응 방안2025-02-12오영선 -
글로벌
다시, 트럼프 시대 : 아름다운 관세의 폭격
■ 트럼프 1차 공격 대상은 멕시코, 캐나다, 중국■ 관세 공격으로 車/반도체 등의 피해 우려, 생산기지 조정 확대될 전망2025-01-22오유진 -
글로벌
다시, 트럼프 시대 : MAGA의 폭풍 속으로
■ 美 47대 대통령 트럼프, 1.20(현지시각)일 취임하며 첫날에만 100여건 행정명령 서명■ 예상했던 즉각적 보편 관세 부과는 보류, 당장은 무역 시스템의 재정비에 초점■ ‘국가 에너지 비상사태’를 선포하며 전기차 등 바이든표 친환경 정책을 대거 철회■ 비트코인의 전략자산화|2|는 불투명하나 크립토 산업의 주도권 확보 전략은 유효■ 정정 불안, 대내외 불확실성 고조에 따른 시장 모니터링 및 리스크 대응 필요2025-01-21김남훈, 오유진 -
글로벌
(하나Knowledge+) 베트남 경제의 명과 암
■ 베트남은 독립 100주년을 맞는 2045년까지 고소득 선직국 진입을 목표■ 베트남은 2024년에 이어 2025년에도 6% 이상의 고성장을 지속할 전망■ 베트남 경제의 명(明) : 성장 잠재력과 지정학적 가치 상승■ 베트남 경제의 암(暗) : 높은 대외 의존도와 낮은 노동생산성■ 베트남의 고성장에 힘입어 글로벌 및 한국 기업의 베트남 투자가 확대되고 있으나, 중장기적인 전략 수립에서 구조적인 위험에 유의할 필요2024-12-30장혜원 -
글로벌
(하나Knowledge+) 동남아 최대 자동차금융 시장 인도네시아
■ 인도네시아 자동차 판매대수는 아태지역 6위 수준이며 동남아시아 국가 기준으로는 가장 큰 자동차 시장■ 향후 인도네시아 자동차 판매 시장은 경제 성장세와 인구대비 자동차 보유대수 등을 감안하면 지속적으로 확대될 전망■ 멀티파이낸스사(이하 MF사)로 지칭되는 인도네시아 자동차 할부금융사는 자국의 거대 자동차 판매 시장을 기반으로 지속 성장이 예상■ MF사의 장기적 성장 추세가 예상되므로 소형사 위주인 한국계 MF사들은 인력, 후선업무 등을 체계화하면서 성장을 지속하는 방안을 모색2024-09-06이종수 -
글로벌
(하나Knowledge+) 글로벌 스포츠업계의 블랙홀 사우디 아라비아
■ 최근 사우디는 자국 국부펀드를 활용, 글로벌 스포츠 시장의 판도를 변화■ 석유 의존도가 높은 경제 다각화 및 이미지 재정립 위해 스포츠 투자를 확대■ 축구, 골프, e스포츠, 권투 및 격투기 등 다양한 분야로 영향력을 확대■ 사우디의 스포츠 투자를 통한 중장기적 관점의 브랜드 가치 제고에 주목할 필요2024-07-26백종호 -
글로벌
(하나Knowledge+) 안녕, 폴란드!
■ 폴란드는 시장경제 체제 전환에 성공하면서 중동부 유럽의 핵심 국가로 부상■ 러-우 전쟁 이후에는 지역 안보의 중심 국가 역할을 수행하는 한편,우크라이나 재건 사업에서의 중추적 역할 기대로 전략적 가치가 증대■ 韓 기업들도 서유럽 진출을 위한 교두보인 폴란드에 대한 투자 진출을 지속■ 최근에는 폴란드의 산업정책 방향과 맞물려 한국과의 협력이 강화■ 한국 기업들은 중장기적인 불확실성 등을 고려한 진출 전략을 수립할 필요2024-07-19강미정 -
글로벌
(하나Knowledge+) 중국의 밀어내기 수출, 소나기인가 장마인가?
■ 중국의 과도한 밀어내기 덤핑 수출에 미국 등 주요국이 고율 관세로 강력 대응했고 중국이 다시 맞대응에 나서면서 글로벌 무역전쟁이 재점화■ 중국 의존도가 높은 한국은 중국 밀어내기 수출로 인해 진퇴양난에 처함■ 더 큰 문제는 중국의 전방위 공세가 소나기가 아닌 지속되는 장마라는 것■ 이제는 달라진 중국을 인정하고 새로운 대응전략을 모색할 시점2024-06-07안혜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