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전체 (560)
-
금융시장
(하나 부동산연구 시리즈) 미국 상업용 부동산 부실가능성 점검(23-2호)
■ 상업용부동산이 중소형 은행을 중심으로 미국 금융시장의 불안 요인으로 부각■ 시스템 위기로 확산될 가능성은 낮으나 오피스 중심으로 자산 손실 우려는 지속 전망2023-05-31손정락 -
금융시장
(하나Knowledge+) 美 은행발 금융불안 확산, 이번엔 다를까?
■ 실리콘밸리은행의 건전성과 유동성 문제가 알려진 이후 불과 2일 만에 파산이 결정되는 등 연이은 은행 파산으로 금융시스템 위기 확산 여부에 대한 경각심 부각■ 금융규제 및 펀더멘탈 개선으로 최근 부각된 유동성 리스크가 시스템 리스크로 전이될 가능성은 낮지만 CMBS 등 취약 섹터에 대한 의구심이 커지는 있는 상황■ 국내외 금융불안 요인 점검 결과, 규제 강화 및 경제 펀더멘탈 개선 등으로 과거 IMF 시기나 금융위기 당시와 같은 파멸적 금융위기 발생 가능성은 제한적■ 이미 알려진 위험(Known risk) 보다 규제 및 관리 사각지대로 정보 비대칭이 큰 알려지지 않은 위험(Unknown risk)이 위기를 촉발할 가능성을 경계할 필요2023-05-26김완중 -
금융시장
(하나 부동산연구 시리즈) 부동산 PF시장 현황 및 전망(23-1호)
최근 개발시장 호황으로 비은행권을 중심으로 부동산 PF대출이 급증브릿지론, 비아파트, 물량부담지역 등을 중심으로 PF 부실화 리스크가 증대정책 지원, 금융기관․건설사 자본여력 등은 위기 완충요인이나 일부 부실 확대는 불가피2023-05-08손정락 -
금융시장
(하나Knowledge+) 세계경제의 ‘日本化’ 가능성은?
■ 세계은행, ‘잃어버린 10년(Lost Decade)’이 오고 있다는 암울한 전망 발표■ 일본의 ‘잃어버린 10년’은 자산버블 붕괴와 자금흐름 왜곡으로 시작■ 중국의 WTO 가입 이후 이어져 온 신흥국의 글로벌 성장견인이 한계에 봉착■ 다만, 세계경제가 ‘일본화’ 악순환에 빠질 가능성은 낮아■ 인구 고령화와 저성장 일상화로 산업별·국가별 희비가 예상2023-05-04김영준 -
금융시장
시중 자금흐름 동향과 주요 이슈 점검
Ⅰ. 시장별 자금흐름 1. 자산시장 수익률 2. 유동성 3. 주식시장 4. 채권시장 5. 외환시장 6. 부동산시장Ⅱ. 금융업권별 자금흐름 1. 은행 2. 자산운용 3. 증권 4. 신탁Ⅲ. 주요 이슈 1. 가계 자금운용 변화 2. 기업 자금조달 변화 3. 부동산PF시장 동향과 전망 4. 美기준금리 인상과 은행 자산건전성 영향 분석2023-04-28연구소 -
금융시장
(하나Knowledge+) 내 월급은 누가 가져갔을까
■ [피해자 진술] 물가 상승 및 소득여건 악화로 생활형편에 대한 인식이 악화되며 근로자를 중심으로 체감경기가 위축되는 한편, 고통지수는 증가■ [용의자] 가계 생활형편 악화의 주원인인 물가 상승과 가계소득 감소에 일조한 금리를 용의자로 특정■ [피해사실] 물가와 금리는 근로자의 구매력 약화와 실질소비 감소로 이어짐■ [용의자 변론] 조세·준조세도 비소비지출 증가를 견인하며 가계 부담 확대■ [사건의 결말] 부정적 영향력을 고려 시 주범인 물가는 서비스가격의 하방경직성 등으로 완만하게 둔화될 것으로 판단되며, 금리인상 파급효과에도 유의2023-03-31진옥희 -
금융시장
(하나Knowledge+) 디레버리징 시대, 합리적으로 대응하자
■ '22년 은행 가계대출이 감소세로 전환되면서 디레버리징 시대에 진입■ 최근 디레버리징은 금리 상승과 함께 자산가격의 하락에 따른 차입수요 감소에서 근본적인 원인을 찾을 수 있음■ 디레버리징은 가계부채의 과도한 수준 조정, 가계 재무건전성의 안정화, 차입문화 개선 등을 통한 금융안정 차원에서 반드시 필요■ 복합위기를 계기로 어렵게 마련된 디레버리징에 대한 논의를 현실화할 시점2023-02-17정희수 -
금융시장
(하나Knowledge+) 일본, 마이너스 금리와 헤어질 결심?
■ BOJ, 수익률곡선 제어 정책(YCC)의 장단기금리 운영 정책을 일부 조정■ 4월 BOJ 총재 교체 이후 물가상황 등을 점검하며 정책 전환이 있을 가능성■ 정책 수정안으로는 ① YCC 변경, ② 마이너스 금리 정책 종결 조치 등이 가능■ BOJ의 통화정책 방향 전환 시 대내외 금리상승과 변동성 확대에 유의2023-01-27오현희 -
금융시장
(하나Knowledge+) 2023년 경제, 3高에서 3苦로
■ 2022년에는 3高 현상 심화, 2023년에는 3高 현상에 따른 후폭풍(3苦) 우려■ (1苦) 성장둔화가 불가피한 가운데 리스크 중첩 등에 따른 침체 위험에 주목■ (2苦) 글로벌 금융여건 악화 속에 신용 경색 및 부채 리스크에 유의할 필요■ (3苦) 공급망 재편 및 고물가 고착화 위험 등 구조변화發 불확실성 우려■ 2023년에는 3苦 불안에 대비하며 변동성·취약성 심화 및 정책 리스크에 유의2023-01-06정유탁 -
금융시장
시중자금흐름 및 경제·금융시장 환경 점검(22. 2H)
■ 자금흐름 : 글로벌 자산시장 및 유동성 국내 주식채권부동산 시장 자금흐름 금융권 수신 및 여신 동향 가계 자금운용 및 기업 자금조달■ 시장전망 : 하반기 경제전망 Summary 통화정책 및 채권시장 외환시장 부동산시장■ 주요 이슈 : 글로벌 경기 연착륙 가능한가 유동성 파티 종료와 휴유증 아시아 국가 환율 불안 가능성 가계부채 디레버리징 가능성 경계2022-12-14김완중 -
금융시장
(하나Knowledge+) 미국 부동산, 얼마에요? 금리 인상과 밸류에이션
■ 연준의 금리인상으로 역대 최고 수준을 갱신하던 美 주택가격도 하락하기 시작■ 인플레이션, 금리 인상은 상업용 부동산 거래에 영향을 주면서 임대료 조정이 단기간에 가능한 분야의 선호도가 높아지는 상황■ 美 상업용 부동산 시장의 동향은 세부 용도에 따라 다른 방향으로 전개■ 美 상업용 부동산의 거래량과 가격은 10년 국채 금리에 민감하게 반응■ 국채 금리의 상승 기조에 따라 내년 상업용 부동산 가격의 하락 전망2022-12-09구강모 -
금융시장
(하나Knowledge+) 미국發 유동성 공급과 회수, 한국경제에 어떻게 전달되나?
■ 美 연준의 가파른 유동성 회수로 실물경제 및 금융시장 불확실성 高■ 연준의 통화정책은 환율·이자율·자산가격 경로를 통해 국내에 전달■ 금리 및 자산가격 경로의 효과가 환율 경로보다 뚜렷■ 가계부채·한계기업·부동산PF의 리스크 현실화 가능성 대비해야2022-11-25김영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