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전체 (553)
-
금융시장
(하나Knowledge+) 일본, 마이너스 금리와 헤어질 결심?
■ BOJ, 수익률곡선 제어 정책(YCC)의 장단기금리 운영 정책을 일부 조정■ 4월 BOJ 총재 교체 이후 물가상황 등을 점검하며 정책 전환이 있을 가능성■ 정책 수정안으로는 ① YCC 변경, ② 마이너스 금리 정책 종결 조치 등이 가능■ BOJ의 통화정책 방향 전환 시 대내외 금리상승과 변동성 확대에 유의2023-01-27오현희 -
금융시장
(하나Knowledge+) 2023년 경제, 3高에서 3苦로
■ 2022년에는 3高 현상 심화, 2023년에는 3高 현상에 따른 후폭풍(3苦) 우려■ (1苦) 성장둔화가 불가피한 가운데 리스크 중첩 등에 따른 침체 위험에 주목■ (2苦) 글로벌 금융여건 악화 속에 신용 경색 및 부채 리스크에 유의할 필요■ (3苦) 공급망 재편 및 고물가 고착화 위험 등 구조변화發 불확실성 우려■ 2023년에는 3苦 불안에 대비하며 변동성·취약성 심화 및 정책 리스크에 유의2023-01-06정유탁 -
금융시장
시중자금흐름 및 경제·금융시장 환경 점검(22. 2H)
■ 자금흐름 : 글로벌 자산시장 및 유동성 국내 주식채권부동산 시장 자금흐름 금융권 수신 및 여신 동향 가계 자금운용 및 기업 자금조달■ 시장전망 : 하반기 경제전망 Summary 통화정책 및 채권시장 외환시장 부동산시장■ 주요 이슈 : 글로벌 경기 연착륙 가능한가 유동성 파티 종료와 휴유증 아시아 국가 환율 불안 가능성 가계부채 디레버리징 가능성 경계2022-12-14김완중 -
금융시장
(하나Knowledge+) 미국 부동산, 얼마에요? 금리 인상과 밸류에이션
■ 연준의 금리인상으로 역대 최고 수준을 갱신하던 美 주택가격도 하락하기 시작■ 인플레이션, 금리 인상은 상업용 부동산 거래에 영향을 주면서 임대료 조정이 단기간에 가능한 분야의 선호도가 높아지는 상황■ 美 상업용 부동산 시장의 동향은 세부 용도에 따라 다른 방향으로 전개■ 美 상업용 부동산의 거래량과 가격은 10년 국채 금리에 민감하게 반응■ 국채 금리의 상승 기조에 따라 내년 상업용 부동산 가격의 하락 전망2022-12-09구강모 -
금융시장
(하나Knowledge+) 미국發 유동성 공급과 회수, 한국경제에 어떻게 전달되나?
■ 美 연준의 가파른 유동성 회수로 실물경제 및 금융시장 불확실성 高■ 연준의 통화정책은 환율·이자율·자산가격 경로를 통해 국내에 전달■ 금리 및 자산가격 경로의 효과가 환율 경로보다 뚜렷■ 가계부채·한계기업·부동산PF의 리스크 현실화 가능성 대비해야2022-11-25김영준 -
금융시장
(하나Knowledge+) 침체인듯, 침체 아닌, 침체 같은 미국경제
■ 美 경제, 2분기 연속 마이너스 성장으로 경기침체 논란 확대■ 경기침체는 생산 및 소비 등 ‘경제활동의 광범위하고 지속적인 하락’을 의미■ 실물지표는 침체가 없음을, 금융 및 심리지표는 침체가 임박했음을 시사■ 미국이 침체에 빠진다면 상대적으로 짧고 온건한 침체이지만, 저숙련 화이트칼라 노동자들과 부채가 많은 신흥국에게 타격이 집중될 가능성2022-09-08김영준 -
금융시장
(하나Knowledge+) 한미 기준금리 역전, 외국인 자금이탈 촉발할까?
■ 한미 기준금리가 역전되며 외국인 자금유출 우려가 부상■ 과거 외국인 자금 유출입은 한미 기준금리차 외에도 다양한 요인에 영향■ 코로나19 이후 채권 및 주식시장에서는 외국인 자금흐름 차별화가 극대화■ 한미 기준금리 역전만을 이유로 하는 자금유출 우려는 과도한 것으로 보이며, 향후에도 채권시장과 주식시장에 대한 외국인의 투자기조 차별화가 지속될 전망2022-08-05이화정 -
금융시장
(하나Knowledge+) 관망세가 짙어지는 주택시장, 향후 흐름은?
■ 수요 위축으로 주택 가격 상승세와 거래량 모두 둔화되며 관망세 심화■ 규제 완화 정책은 중장기적으로 추진되며 관망세가 장기화될 가능성 상존■ 주택시장 향방의 Watching Point를 점검해 향후 흐름을 검토■ 매매시장의 관망세는 당분간 지속되면서 가격 상승세 둔화가 지속될 전망■ 분양시장에서는 수요 위축으로 미분양이 증가하고 분양 물량은 축소될 우려■ 임대시장은 매매가격 상승 기대 약화로 임대수요 증가하며 주거비 부담 가중2022-07-15하서진 -
금융시장
시중자금흐름 및 경제·금융시장 환경 점검
■ 자금흐름 : 글로벌 자산시장 및 유동성, 국내 주식·채권·부동산 시장 자금흐름, 금융권 수신 및 여신 동향, 가계 자금운용 및 기업 자금조달 ■ 시장 전망 : 하반기 경제 전망 Summary, 통화정책 및 채권시장, 외환시장, 부동산시장■ 주요 이슈 : 대내외 금융리스크 점검, 내외 금리차 역전과 자본유출 우려, 가계부채 및 자영업자 부채 점검, 금리/환율 상승에 따른 산업부문 영향 점검2022-07-08연구소 -
금융시장
(하나Knowledge+) 'S(Stagflation)'의 공습, 이번엔 진짜?
■ 스태그플레이션에 대한 공포로 주식 및 채권시장 동반약세 심화■ 스태그플레이션은 공급 충격이나 불합리한 정책조합 등에 의해 발생■ 1970년대식 스태그플레이션 가능성 낮지만, 체감되는 압력은 높은 상황■ 부채 의존적 신흥국과 가격결정권이 낮은 기업에게 부정적2022-06-24김영준 -
금융시장
(하나Knowledge+) 빚으로 쌓은 국부, 지속가능할까?
■ 주요국의 GDP 대비 국민순자산을 비교해 보면 우리나라가 가장 높은 수준■ 순자산 증가 배경은 소득 증가가 아닌 부채 조달과 자산가격 상승에 기인■ 순자산 증감의 자산가격 상승효과는 인플레이션을 크게 상회■ 주택시장과 부채에 의존한 국부는 코로나 위기 이후 경제환경 변화에 취약2022-05-20김수정 -
금융시장
(하나Knowledge+) 코로나 위기 이후 외환자금 유출입 변화와 외환시장 전망
■ 코로나 위기를 계기로 국내 외환 유출입 행태가 크게 변화■ (현황) '21년 외환 유입, 경상거래와 외국인의 채권자금 측면에서 확대■ (전망) 경상수지 흑자 축소, 거주자 해외증권 투자로 '22년 외환수급 부정적2022-01-21김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