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9월 금통위 결과 분석 및 향후 전망

2013-09-13김승룡

목차

금통위는 국내 경제의 완만한 회복세를 고려해 기준금리를 2.50%로 동결
§ 금통위는 국내경제의 완만한 회복 및 향후 전망 유지, 국내 금융시장의 안정, 추경 편성 및 기준
금리 인하 효과 등을 감안해 기준금리를 4개월 연속 동결
§ 7월 全산업생산이 건설업 생산 증가 등에 힘입어 3개월 만에 증가세로 전환되고 8월 수출은
對美·對中수출호조 등으로 7.7% 증가해 국내경기의 완만한 회복 기대가 지속
§ 또한 美양적완화 축소 논란에 따른 일부 신흥국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에도 불구하고 국내 금융
시장 불안은 제한적이라는 점도 기준금리 동결 배경으로 작용


대외發성장하방 위험 요인에 대해 면밀하게 모니터링할 필요
§ 美양적완화 규모의 조기 축소는 세계주가 및 채권가격의 하락, 달러화 강세 등 국제금융시장의
불안정을 야기하여 단기적으로 세계경기 회복세가 약화될 가능성 존재
§ 또한 신흥국 금융불안 및 경기둔화 가능성, 중동지역의 지정학적 리스크 등 성장의 하방위험 요
인이 부각되고 있어 이에 대해 면밀하게 모니터링할 필요


기준금리는 경기회복 기대, 美양적완화 축소 부담 등으로 동결이 지속될 전망
§ 기준금리는 대내외 경기의 완만한 회복 기대, 미국 양적완화의 축소 개시 가능성 등을 고려할 때
상당기간 동결 기조가 지속될 전망
§ 미국 경제의 회복세 지속, 중국 경기둔화 우려 약화 등으로 세계경제가 완만하게 개선될 것으로
예상되고 이에 따라 국내 경제도 회복세가 지속될 전망
§§ 다만 대외發성장하방 위험 요인, 국내 경제의 미약한 회복세 등으로 통화완화 기조 유지가 예상


국내 경제의 양호한 펀더멘탈에도 대외불안 장기화 가능성에 대해서는 주시할 필요
§ 금융위기 이후 거시건전성 조치 강화 등을 통한 지속적인 외채구조 개선, 양호한 정부의 재정건
전성, 금융권의 외화건전성 개선 등은 여타 신흥국들과의 차별화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
§ 그러나 대외불안 장기화와 더불어 채권시장내에 특정 투자회사의 과도한 투자 비중 등 리스크
요인이 부각될 경우 금융시장의 변동성 확대 가능성 상존

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