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산업

Global WiBro Market Outlook & Feasibility Study for Overseas Projects

2009-08-05YOON, Il-Jae

목차
▶ 연구의 필요성 ● 2007년 10월 와이브로의 국제 표준 채택과 11월 와이브로 주파수 대역이 4G 세계 공통 주파수 대역으로 선정됨에 따라 관련 시장 확대 및 국내 경제에 미칠 부가적 효과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있음 ● 정부 및 사업자들은 매우 긍정적이고 낙관적인 전망으로 일관하고 있으나, 와이브로 기술은 국내 상용화에도 저조한 수준 ● 따라서 중장기적 관점에서 국내외 와이브로 서비스 시장 및 장비 시장 전망을 통해 객관적인 성공 가능성을 살펴볼 필요가 있으며, 나아가 경제구역/국가 별 와이브로 도입 가능성을 평가함으로써 해외 프로젝트의 사업성을 타진해야 할 것임 ▶ 와이브로의 기술적 개요 및 정부 정책 ● 와이브로는 우리나라가 국제 표준화를 주도한 3.5G 이동통신 서비스이나, 후발 기술의 선상용화 등으로 인해 시장 매력도가 저하되고 있으며, 킬러 애플리케이션 및 수익모델 역시 부재한 상황 ● 와이브로는 정보통신부 IT-839 정책의 주요 아이템이자, 4G 세계 공통 주파수 대역을 선점한 잠재력이 높은 기술임. 그러나 국내에서는 시장 활성화의 Key인 VoIP의 도입 결정이 늦어지는 등 정책적인 방향이 불투명한 실정 ▶ 국내 통신사업자 및 장비 업체 동향 ● KT가 적극적인 마케팅 전략으로 시장을 선도하고 있음. 그러나 VoIP 도입이 KT의 기존 사업 영역인 유선전화 사업의 Cannibalization을 불러올 수 있으며, 와이브로의 사업성 검증 미비로 인해 보수적인 투자를 진행 중 ● SKT는 와이브로 외에도 비동기식 3G 기술인 HSDPA 및 동기식 3G인 EV-DO Rev.A 등 다양한 경쟁 기술을 상용화할 수 있기 때문에 자사의 와이브로 상품을 KT의 와이브로 상품에 대한 방어적 상품으로 간주하고 소극적으로 대처 ● 장비 시장은 원천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삼성전자와 포스데이터가 주도하고 있는 가운데, 중계기 및 부품은 중소 규모의 벤처 위주의 시장임. Chipset의 경우 국내 Fabless 반도체 설계 업체들에게 기회 요인이 될 수 있지만 대기업 위주의 시장 구도 및 시장의 영세성 등으로 인해 와이브로 관련 수혜는 소수의 업체에게만 집중될 전망 ▶ 국내 와이브로 서비스 시장 전망 ● 정보통신부는 국내 와이브로 가입자수가 2006년 79만명, 2009년 490만명, 2011년에는 929만명 수준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였음. 1인당 평균 사용금액을 합리적 수준으로 조정한 이후, 정보통신부의 시장 전망치를 추산하여도 2011년 3.1조원 이상의 시장 규모를 보임. 이러한 전망치는 시장 포화도에 대한 가정 및 시장 내 확산 속도에 대한 가정 없이 과대 예측되었다고 판단됨 ● 본고에서는 국내 초고속 인터넷 가입자수를 Proxy로 사용하여 Bass Model을 구축, 2012년까지의 국내 와이브로 서비스 시장 규모를 전망하였음. 가장 보수적인 케이스의 경우 2011년 가입자수는 232만명, 시장규모는 8,350억원이며 가장 공격적인 케이스의 경우 2011년 가입자수는 527만명, 시장규모는 1.9조원을 보임. 이는 정부의 전망치와는 1조원 가량의 차이를 보임 ● 보수적, 공격적 시나리오가 아닌 보통시나리오가 전개될 경우, 2011년 국내 와이브로 가입자 수는 3~400만명, 서비스 시장 규모는 1.2~1.7조원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 세계 와이브로 서비스 시장 전망 ● 세계 시장의 수요 모델은 통신시장의 잠재적 크기에 대한 정보 부재 및 각 국가별 상이한 수요 패턴, 지불가능한 통신금액 산정의 어려움 등으로 인해 모델 구성에 대한 리스크가 큰 편. 따라서 세계 서비스 시장은 해외 유명 시장조사기관의 기발표 자료에 의거하여 전망하였음 ● 세계 유명 시장조사기관들은 와이브로 서비스 파급도가 2007년 100만명, 2011년 2천만명 수준에 머물 것으로 보고 있으며, 시장 크기 역시 20011년 3,200만 달러로 저조한 예측치를 내놓았음. 해외 전문가들은 와이브로가 미래 세계 이동통신시장 내 Main 통신 기술이 되기 어렵다고 전망하고 있음 ▶ 국내외 와이브로 장비 시장 전망 ● Bass Model에서 전망한 가입자수에 따른 단말기 수요와 이동통신사업자의 설비투자에 근거하여 국내 와이브로 장비 시장을 전망한 결과 2010년 기준 6,260억원의 시장 규모를 보일 듯. 이는 정보통신부의 예상치인 1조원과는 큰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이는 사업자들의 보수적인 설비투자와 와이브로 서비스 시장의 저조한 성장세에 기인 ● 와이브로는 실제적으로 내수시장보다는 수출시장에서 활로를 찾기 위한 기술로, 국내 통신장비 제조업체의 세계 시장 진출을 여는 최초의 기회로 평가받고 있음. 나아가 장비 시장의 진출은 단말기 시장 선점을 보장한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음 ● 그러나 와이브로 인프라 시장은 2010년 37억 달러 규모에 머물 전망인데, 이는 타 기술 기반 시장 전망치의 1/10 수준. 와이브로가 전세계 통신시장을 이끌만한 재목으로 평가받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여실한 예임 ● 글로벌 장비업체들 역시 와이브로를 평가절하하고 있으며, 와이브로 사업 진출에 대한 검토는 국내 업체의 세계 진출에 대한 방어적 대응으로 해석되며 해외 유명 통신사들의 대규모 유치 계획 역시 저조한 실정 ▶ 경제구역/국가 별 와이브로 도입 추진 동향 및 시장 분석 ● 미국이 가장 큰 잠재력을 가진 시장이나, 최근 스프린트 넥스텔의 실적 부진 및 클리어 와이어와의 제휴 철회 등으로 인해 도입 가능성이 불투명해짐 ● 일본의 경우 3G와 와이브로의 중복 투자 방지를 위해 대규모 이동통신사업자 들의 시장 진입을 금지함에 따라 소규모 업체 중심의 사업 추진이 대부분. 동남아시아 국가들은 대부분 유선 및 무선 인프라가 미흡한 편이어서 도입 가능성이 높은 편으로 평가됨 ● 유럽과 중국은 와이브로의 표준채택에 적극적으로 반대한 지역으로, 향후 와이브로의 진출 가능성은 매우 낮은 편. 고정형 와이맥스를 선호하고 있으며, 자국 고유의 기술 환경 조성을 위해 와이브로의 도입을 적극적으로 반대 ▶ 해외 프로젝트의 사업성 및 리스크 분석 ● 26개국 이상에서 도입의향을 표시하고 있어 해외 통신 시스템 구축 시에는 장비 판매 및 기지국 1대당 판매액의 5~6%에 해당하는 기술료 획득으로 수익성은 확보될 것으로 판단됨. 또한 관련 제조업체는 삼성전자 등 시스템 제조 업체와 기지국을 보완하는 중계기 및 관련 부품을 생산하는 소수의 중소업체 뿐이어서 수익성 역시 높을 것으로 판단됨 ● 대량 생산으로 인한 WCDMA 장비 가격 하락으로 인한 WCDMA 시장 활성화는 글로벌 장비업체의 와이브로 시장 내 진입을 망설이게 만드는 주요 원인으로 작용. 국내 업체만으로는 와이브로 시장 확산은 불가능함 ● 와이브로 조기 확산 및 Reference Site 확보를 위한 저가의 Turnkey 방식 프로젝트 수주 또한 해외 프로젝트의 리스크 요인 중 하나임. 이러한 단가인하압력은 중계기 및 각종 부품을 생산하는 중소규모 벤처업체에게 전가될 것이고 대형사업자에 대한 매출 의존도가 높은 영세업체들의 생존은 어려워질 가능성이 높음 ▶ 결론 ● 세계표준채택은 우리 기술이 세계 시장에 진출하는 데 보조적인 역할을 하는 인증서와 같은 역할만을 수행. 또한 세계 유수 통신사 및 장비업체들은 와이브로를 3G에서 4G로 넘어가는 과도기적 기술로만 인식 ● 과대예측된 경제적 파급효과 및 수출효과에 대한 막연한 기대감보다는 와이브로를 확산시킬 수 있는 실질적인 기회 획득이 절실함
요약
▶ Necessity of research ● There are overwhelming expectations for WiBro-related market expansion and its additional economic effects, after WiBro was chosen as an international standard on October, 2007 and its frequency band is allocated for common 4G global spectrum on November. ● The Korean government and operators are consistent with their highly positive and optimistic outlook. Commercialization of WiBro technology, however, is sluggish even in Korea. ● Thus, it would be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for success of WiBro, from the long-term perspective, through objective forecast of domestic and foreign WiBro markets, and gauge business opportunities of foreign communication systems by evaluating the possibilities of WiBro introduction to each economic territory and nation. ▶ Technical outline and Government policies on WiBro ● Business attractiveness of WiBro, one of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s that the Korean government has led its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is deteriorating, and its killer application and business models are insufficient. ● WiBro is a major item in IT-839 policy of the Ministry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and a technology with high potential which preoccupied 4G international common frequency band. Political direction is ambiguous, however, because of many reasons such as a delay of the government decision regarding introduction of VoIP, a key to boost WiBro market. ▶ Movements of Korean Telcos & Comm. service operators and equipment companies ● KT is leading the WiBro market with active marketing strategy, but engaging in conservative investment strategy since an introduction of VoIP might cause cannibalization of wired telephone sector, a KT's existing business area, and business potential of WiBro has not been evaluated sufficiently. ● SKT considers its WiBro service as a passive defence against KT's, because SKT can commercialize various 3G technologies such as HSDPA, asynchronous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EV-DO Rev.A synchronous communication technology. ● While Samsung Electronics and posdata, who possess an origin technology, are leading WiBro equipment market, some venture companies are concentrated in repeater and components markets. Especially, Korean companies who design fabless semiconductors would see an opportunity in chipset market whereas but those WiBro benefits will fall on only a few companies as the market is concentrated on large companies and size of the market is small. ▶ Outlook of Korean WiBro service market ● The Ministry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stimated that WiBro subscribers should be 790 thousand in 2006, 4.9 million in 2009 and 9.2 million in 2011, respectively. Even after an average amount payable per user is adjusted to the reasonable level, the approximate WiBro market size in 2011 is greater than 3.1 thousand billion won. In our view, this is overestimated, calculated without giving considerations to market saturation and diffusion of new services. ● In this research, we forecasted the size of Korean WiBro service market until 2012 based on a bass model and time series data of Korean high-speed internet, a proxy data. In the most conservative case, subscribers should be 2.3 million and market size should be 835 billion won. In the most aggressive case, a number of subscribers should reach 5.2million and the market will amount to 1.9 trillion won. So, there is about 1 trillion won difference between the estimation of the Ministry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and our projection. ● To sum up, we reached a conclusion that Korean WiBro subscribers should be between 3~4 million and market size should reach 1.2~1.7 trillion won under normal scenarios (scenario 2 and 3). ▶ Outlook of global WiBro service market ● It is difficult and risky to construct a demand model for global market, due to insufficient data on potential global communication market size, different demand patterns by country and difficulty in estimating payable service fees. So, we forecasted global WiBro service market using forecasting data of global research firms. ● Global famous IT research firms project that total number of global subscribers should be 1 million and 20 million in 2007 and 2011, respectively, and global service market should amount to 3.2 million dollars. They forecast WiBro will unlikely become a main technology in future global wireless communication market. ▶ Outlook of Korean and global WiBro equipment markets ● Korean WiBro equipment market will reach 62.5 billion won based on the estimated hand-held device demand from subscribers, which is forecasted by the Bass model, and equipment investment of telecommunication operators. This shows a huge gap, over 1 thousand billion won, between the estimation of the Ministry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and ours. The difference seems to be caused by the conservative level of equipment investment and low growth in the WiBro service market. ● WiBro is considered to be the first chance for Korean telecommunication equipment manufacturers to enter global market, as it is the technology that aims for global market, not Korean market. Besides, an entrance to the global equipment market guarantees pre-occupation of global handset market. ● Global WiBro equipment market is expected to amount to 3.7 billion dollars in 2010, respectively, which is just one-tenth of other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market estimates. It is a clear example that shows WiBro is not considered as another leading technology in future communication industry. ● Global equipment makers also underestimate WiBro, and their examination on the WiBro business can be interpreted as a defensive action against the entrance of Korean equipment makers. Moreover, a number of global leading telecommunication companies do not have plans for large-scale equipment investment in WiBro. ▶ Introduction of WiBro in each economic territory and country ● Even though the U.S. is a market with the greatest potential, the introduction of WiBro in the U.S is ambiguous, due to poor performance of Sprint Nextel and the withdrawal of cooperation proposal with Clear Wire. ● In Japan, most WiBro projects are pursued by small and medium-sized companies, as the Japanese government prohibits the entrance of major telecommunication firms in order to prevent duplicated-investment between 3G and WiBro. On the other hand, in Southeast Asian countries, WiBro is most likely to be introduced as wire and wireless communication infrastructures in those countries are not sufficient. ● Europe and China will barely introduce WiBro, because they voted against the selection of WiBro as an international standard. They tend to prefer Wimax to WiBro, and China is opposed to introduce WiBro in order to form a communication environment based on TS-CDAM, its own technology. ▶ Opportunities and risks of overseas projects ● It will not be difficult to capture a certain level of earnings if telecommunication system is established in overseas, with the support of equipment sales and loyalty fees for an origin technology, as more that 26 countries express their intention to introduce WiBro. Also, the number of WiBro-related manufacturers are small including system manufacturers such as Samsung Electronics and a few venture companies, which design and produce repeater and parts, resulting in high earnings. ● However, an active WCDA market, boosted by WCDMA equipment price fall after mass production, makes global equipment makers hesitate to enter the WiBro equipment market. With Korean makers only, diffusion of WiBro will be impossible. ● Another risk factor is the acceptance of low-priced turnkey system project in order to diffuse WiBro rapidly and secure reference sites. The cost-cutting pressure will pass on to small and medium-sized venture companies, mostly makers of repeaters and parts, and revenues of small companies whose dependency on large companies is high will likely deteriorate. ▶ Conclusion ● For WiBro, the fact that it was chosen as an international standard will only act as a certificate to enter global market. Besides, global leading telecommunication companies and equipment makers onlny consider WiBro as a transitional technology between 3G and 4G. ● It is urgent to find tangible opportunities which will accelerate diffusion of WiBro, rather than relying on vague expectations about additional economic effects and export effects.
Ⅰ. 서론 1 Ⅱ. 와이브로 개요 및 추진동향 3 1. 기술적 개요 및 특성 3 2. 정부 및 ITU 관련 정책 분석 6 3. 와이브로 사업자 분석 8 4. 와이브로 관련 제조업체 분석 11 Ⅲ. 와이브로 국내외 시장 전망 및 산업 내 파급효과 분석 16 1. 수요모델 구축을 통한 국내외 와이브로 서비스 시장 전망 16 2. 와이브로 상용화에 따른 국내외 통신 장비 시장 구도 변화 26 Ⅳ. 각 경제구역/국가 별 와이브로 도입추진 동향 및 시장분석 33 1. 미국 및 북미 시장 35 2. 일본 38 3. 동남아시아 40 4. 유럽 43 5. 중국 46 Ⅴ. 해외 와이브로 시스템 구축 프로젝트의 사업성 검토 48 1. 경제구역/국가 별 도입 가능성 48 2. 해외 프로젝트의 사업성 및 리스크 분석 50 Ⅵ. 결론 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