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시장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중국의 경제정책 향방과 국내 파급영향 및 시사점

2009-11-18윤병수

목차
금융위기 이후 중국의 거시경제정책 향방

적극적 확대 재정정책과 완화된 통화정책

중국정부는 글로벌 금융위기로 경제성장율 목표 8% 달성이 힘들 것으로 판단하고 2010년까지 4조위안에 달하는 대규모 재정투자를 통해 경제성장을 견인하는 한편, 풍부한 유동성 공급을 위하여 기준금리와 지급준비율 인하, 금융기관 규제완화 등의 통화정책과 창구지도를 통한 신규대출 대폭 확대
특히, 정부의 재정투자는 주로 농촌과 내륙지역의 인프라 건설에 집중하여 지역균형발전을 추진하고, 민간투자와 소비진작을 유도하기 위하여 과도기적으로 유동성 확대, 금리인하, 조세감면, 외국인투자기회 확대 등의 부동산부양책을 실시하는 한편, 소비형 부가가치세로 개혁하여 기업의 현금흐름을 개선


금융위기 이후 중국의 소비촉진정책과 산업·통상정책의 향방


내수위주 성장을 위한 소비촉진정책

중국정부는 금융위기를 계기로 수출주도형 성장모델을 내수위주로 전환하기 위한 노력을 가속화하고, 소비시장 확대를 위하여 사회복지제도 개선과 농촌 소득증대 및 소비촉진에 주력하는 한편, 내수시장확대를 위한 소비촉진을 위하여 한시적으로 가전과 자동차 구매에 대한 세금감면, 보조금 지급 실시

산업구조 고도화와 수출확대를 위한 산업진흥정책

산업진흥정책은 장기적 관점에서 기술향상, 생산능력 확충, 산업집중도 개선 등을 중심으로 한 산업부양책이자 구조조정 안으로 9대 주요산업 (철강, 자동차, 방직, 기계장비, 정보통신, 조선, 경공업, 석유화학, 비철금속)과 물류산업이 대상
정책의 주요내용은 M&A를 통해 노후, 잉여시설을 감축하고 산업집중도를 제고시키는 한편, 각 산업의 가치사슬(value chain) 즉, 브랜드개발, 유통망 확충과 서비스 등 부가가치가 높은 부분에 집중함으로써 경쟁력 제고 및 수출확대를 추진하고, 이를 위한 자국산업 보호 및 수출촉진책을 실시

외자유치 확대를 통한 금융발전정책과 위안화의 국제화 및 자원확보를 위한 대외경제정책

달러화의 신뢰위기를 기회로 위안화의 국제적 입지를 강화하기 위한 국경무역의 위안화 결재 확대, 6개 주요 무역도시의 위안화 결재 허용, 통화스왑 체결 등 노력을 가속화하는 한편, 중국의존도 제고,베이징컨센서스 관심집중 등 환경이 호전되고 있으나 기축통화 부상은 상당한 시일이 소요
금융위기 이후 중국은 막대한 외화보유고를 기반으로 해외자원 확보와 함께 새로운 자원개발에 적극 투자하고 있으며, 원유를 담보로 산유국에 대한 저리차관을 제공하거나 해외 에너지기업을 인수하고, 신자원개발의 선진기술보유 해외기업을 유치하는 방식으로 추진


금융위기 이후 중국의 경기부양책 추진성과와 문제점


경기부양책의 추진성과

1~9월까지 경제성장률은 7.7%를 시현한 가운데, 투자가 7.3%p, 소비가 4.0%p, 수출이 -3.6%p를 기여하여 정부재정투자가 수출감소세를 상쇄하며 성장동력으로 작용하였으며, 소비도 지난 3월 상승세로 반전한 이후 1~9월까지 15.1%증가하여 예년증가율 수준을 회복하고 생산도 뚜렷한 증가세
그러나 9월 소비자물가(-0.8%), 생산자물가(-7%) 모두 감소폭이 둔화되고 있으나 여전히 마이너스를 유지하고 있어 인플레 압력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출실적도 3/4분기에 -16.5%로 감소폭이 줄어들고 있으나 여전히 빠른 회복세를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

경기부양책의 문제점과 전망

해외수요가 위축된 가운데 산업진흥정책의 추진으로 생산력은 더욱 증가하여 생산과잉과 중복투자에 따른 기업파산, 실업률 증가, 금융기관 부실문제가 우려되고 과잉유동성으로 자산버블이 발생하면서 인플레로 이어질 경우 조기 출구전략 시행은 경기회복을 지연시키는 요인으로 작용
정부의 대규모 재정투자가 국유기업에 집중되어 중소기업과 민간기업은 오히려 성장동력을 상실하고 공정한 시장경쟁과 소비자권리보장이 후퇴되는 한편, 실업율 증가 및 민간투자 위축으로 경기부양효과를 상쇄할 가능성이 있으며, 보호무역조치가 강화되고 있어 대중국 진출전략의 재정립이 요구


국내 파급영향과 시사점

중국 거시경제정책의 변화에 따른 파급영향과 시사점

내수확대를 위한 막대한 재정투자의 영향으로 대중국 수출은 감소폭이 둔화되면서 회복조짐을 보인 반면, 수입감소폭은 더욱 확대되어 대중무역흑자 규모가 증가하였으며, 수출품목에서도 부가가치상품 위주로 전환되고, 투자도 위축된 가운데 내수시장 진출이 증가하는 등 한·중 교역구조에 변화발생
특히, 인프라 투자확대는 관련품목의 대중 수출증가 등의 영향을 미치고, 우리기업도 직접참여는 힘들것으로 보이나 틈새시장을 개척하여 중국기업과 컨소시엄 구성 및 중국현지 합작진출 방안 검토필요

중국의 소비촉진정책 및 산업진흥정책의 영향과 시사점

최근 대중 수출실적 개선은 소비촉진정책에 의한 가전, 휴대폰, 자동차 등의 관련제품 수출이 급증하였기 때문이며, 소비시장과 서비스시장, 내륙지역의 내수확대가 예상됨에 따라 우리도 적극 진출 필요
점차 우리제품과의 경쟁이 심화될 것이기 때문에 중국기업과의 상생협력을 모색하는 한편, 비교우위를 유지, 발전시켜 성장동력을 확보하는 노력이 요구되며, 금융서비스시장의 급성장이 예상됨에 따라 촌진은행 진출 등을 통한 채널확장과 여타 금융산업으로 사업영역의 확대가 필요한 시점
요약
Macro-economic policy trend after global crisis

Preemptive stimulus fiscal and monetary policy

Due to financial crisis, Chinese economy experienced a plug, and in order to revive the flagging economy, Chinese government released bailout package of 4trillion Yuan. In 2009, China’s macro economic policy includes expansionary fiscal policy to boost investment and eased monetary policy by rate cuts and loan control easing.
The bailout package that the government is implementing covers various areas including exports, the real estate market and domestic consumption. However, the emphasis remains on supporting investment, particularly in infrastructure.


Consumption stimulus policy and industry∙foreign economic policy

Consumption stimulus measures aimed to expand domestic demand market

Growth driven by exports and foreign investment cannot be expected to continue in the
current unstable global economic environment. Government’s efforts is focused more on shifting export-driven growth model to domestic-demand-driven growth model by boosting domestic consumption. the detailed measures include developing social welfare infrastructure, boosting automobile and households electronics consumption by tax cut and subsidies provision and ect.

Industrial development measures aimed at industry structure upgrade

The government has released industry stimulus package for 9 key industries (steel, auto, shipbuilding, petrochemical, synthetic fiber, nonferrous, light manufacture, telecommunications and equipment manufacture) at the beginning of the year. The main purpose of industry policy is to accelerate technology revolution, increase production capacity, upgrade industry structure and ect. from a long term perspective.
The measures implement includes contracting lagging and excessive capacity through M&A, laying focus on stimulating on the high value chain in every industry and ect. so as to increase industrial competitiveness, keep industrial healthy development and improve exports.

foreign economic policies: internationalization of RMB and energy diplomacy

With the undermining of dollar, Chinese government has made significant efforts to
accelerate the internationalization of the RMB in various ways, including promoting circulation of RMB denominated assets, expanding the settlement role of the RMB, and sign the currency swaps with 6 countries. In a near term, an expansion of the RMB’s influence in emerging markets and the rest of Asia are likely, however is unlikely to replace dollar to emerge as reserve currency.
After financial crisis, the possibility of dollar depreciation poses a significant challenge for China’ huge foreign reserves. And in pursuit of new grow momentum, Chinese government is attaching more importance on energy field and the efforts include sovereign loans to countries with abundant natural resources in exchange oil and natural resources, acquiring foreign companies with advanced energy development technology and expanding overseas energy acquiring channel.


The effects and limitations of stimulus policy

The effects of stimulus policy

Chinese economy has been recovering strongly since 2Q 2009 on the back of public sector investment and the government’s preemptive stimulus measures. During 1∼3Q, economy has recorded a growth of 7.7%, among which investment, consumption, and net exports contributed by 7.3%, 4.0% and -3.6% respectively.
While investment growth has recorded an exordinarily high growth of over 30%, consumption has showed a moderate growth gradually recovering to the level before the crisis. Although exports still continue to contract, the contraction is slowing down.

The limitations of stimulus policy

investment may have been overly concentrated in certain industries, which caused the
excessive investment and overcapacity. Meanwhile, and excess liquidity is raising the risk of asset bubbles and inflation.
Government’s stimulus policy is focus on government owned enterprises, private-owned enterprises and SMEs are suffering with the unfair competitive environment and less assistance from the government. The private sector is losing momentum, which pose challenge for continuous economic recovery.


The policies’ impacts on Korea and Implications

Impact of China’s macro-economic policy on Korea and implications

With Chinese economic recovered backed on stimulus policy, the contraction of Korean exports to China has shown been slowing down and exports plus is increasing. Meanwhile, changes in Korean-Sino trade structure is on the way, such as Korean exports to Chinese domestic markets in increasing.
However, government-driven investments are focused on infrastructure construction, although it has driven Korean exports in some extent, the direct participation of Korean enterprises investments has been limited. It is necessary for Korean enterprises to expand direct investment by consortium with Chinese local enterprises.

Impact of China’s consumption stimulus and industrial development policy on Korea
and implications

Thanks to Chinese consumption stimulus measures, Korean auto and electronics products have increased significantly. Considering Chinese consumption market has huge growth potentials in the future, Korean exports is suppose to be more oriented to Chinese consumption market.
As Chinese industrial competitiveness is enhancing and competit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gets furious, it is import for Korea to keep comparative advantage and persue new growth momentum. Considering Chinese financial industry has large growth potential, it is considerable to enter rural financial industry by the form of village and town bank and non-banking financial fields.
Ⅰ. 연구의 배경과 목적


Ⅱ. 금융위기 이후 중국의 거시경제정책과 지역개발정책의 향방

1. 경기부양을 위한 재정정책 및 통화정책의 변화
가. 거시경제정책의 추진배경과 특징
나. 적극적 확대 재정정책 
다. 완화된 통화정책

2. 부동산정책 및 조세정책의 변화
가. 부동산시장 부양정책
나. 부가가치세 개혁

3. 지역개발정책의 변화
가. 지역개발정책의 추진배경과 특징
나.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지역개발정책의 변화


Ⅲ. 금융위기 이후 중국의 소비촉진정책과 산업·통상정책의 향방

1. 내수위주성장을 위한 소비촉진정책
가. 소비촉진정책의 추진배경과 특징
나. 소비촉진정책의 변화

2. 산업구조고도화와 수출확대를 위한 산업진흥정책
가. 산업진흥정책의 추진배경과 특징
나. 산업진흥정책의 변화

3. 외자유치 확대를 위한 금융산업정책
가. 금융산업정책의 추진배경과 특징
나. 금융산업정책의 변화

4. 위안화의 국제화 자원확보를 위한 대외경제정책
가. 위안화의 국제화 추진배경
나. 위안화의 국제화 추진계획 및 전망
다. 자원외교 강화


Ⅳ. 금융위기 이후 경기부양정책의 추진성과와 문제점

1. 경기부양정책의 추진성과

2. 경기부양정책의 문제점과 전망
가. 생산력 과잉 및 중복투자의 심화
나. 과잉유동성에 따른 인플레션 우려와 출구전략 시행 가능성
다. 국유기업중심의 성장에 따른 민간기업의 위축(國進民退) 
라. 부동산가격 급등과 거품붕괴 가능성
마. 보호무역주의에 대한 이중적 태도


Ⅴ. 국내 파급영향과 시사점

1. 중국 거기경제정책의 변화에 따른 파급영향과 시사점
가. 한·중 교역구조의 변화
나. 인프라 투자확대에 따른 관련품목의 수출과 진출가능성

2. 중국의 소비촉진정책 및 산업진흥정책의 파급영향과 시사점
가. 수출구조고도화와 내수 소비시장 및 서비스시장 진출확대
나. 내륙진출과 한국의 비교우위 산업 육성

3. 중국의 금융산업정책 변화에 따른 파급영향과 시사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