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산업

해외 퇴직급여상품의 발전 동향 및 시사점

2010-06-08정승희

목차
퇴직급여상품의 개념 및 유형

퇴직급여상품은 퇴직 이전까지 축적된 자산을 퇴직 이후 소득으로 전환하는 단계에서 활용되는 금융상품 으로 ‘일정한 소득흐름 창출’의 보장 여부에 따라 크게 소득보장상품과 소득非보장상품으로 구분
소득非보장상품은 다양한 자산배분전략을 통해 소득흐름을 창출하는 상품으로 ①정기예금, 이표채, 배당주 등의 이자지급상품, ②자산배분과 정기적인 인출을 구조화한 퇴직급여펀드가 해당
소득보장상품은 보험사를 통해 가입하는 연금 상품으로 ①즉시 연금과 ②다양한 최저생존보증옵션을 부가한 변액연금이 활용
세부 상품별로 차이가 존재하나 일반적으로 소득非보장상품은 개인이 자산운용에 대한 책임을 지는 만큼 투자·장수 리스크 등에 노출될 수 있으나 소득 인출에 있어 높은 유연성이 부여, 반면 소득보장상품은 평생 혹은 특정 기간 동안 일정한 소득 흐름이 보장되는 반면 개인이 보유한 통제력은 낮은 편


해외 퇴직급여상품 발전 동향

미국

현재 전체 인구 중 26%를 차지하고 있는 베이비붐 세대가 2005년 이후 순차적으로 은퇴 인구에 편입되고 있는 가운데 퇴직연금 지급에 있어서 연금 방식보다는 일시금 방식이 선호되고 있음
이에 따라 미국에서는 퇴직시점에서 퇴직자 개개인이 적절한 자산배분을 통해 안정적인 은퇴소득을 창출해야 할 필요성이 크게 증가
소득보장상품의 경우 1990년대 후반부터 최저적립금보증, 최저수입보증이 부가된 변액연금이 등장하였으며 이후 2000년대 초반에는 최저인출보증, 평생최저인출보증이 부가된 변액연금이 출시되어 현재 변액연금시장에서 주류를 형성
반면 소득非보장상품 가운데 이자지급상품은 전통적으로 활용되고 있으나 퇴직급여펀드는 아직까지 크게 활성화되지 않은 편, 그러나 지난 2007년부터 Fidelity, Vanguard 등 대형 자산운용사를 중심으로 퇴직 급여펀드의 출시가 점차 증가하는 추세

일본

현재 일본의 인구 고령화율은 20%를 초과하는 수준으로 세계에서 가장 고령화가 크게 진전된 국가 중 하나로 2007년부터는 단카이 세대라고 불리는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가 본격화
아직까지 퇴직연금제도는 초기 단계로 기존 퇴직금제도에서는 일시금 지급방식이 보편적으로 활용되고 있어 퇴직 시점에서 개별 근로자가 노후소득보장에 대한 책임을 부담
전통적인 퇴직급여상품으로 활용되어 온 정기예금은 장기간 저금리 지속으로 은퇴소득 창출에는 한계가 존재함에 따라 1990년대 후반부터 퇴직급여펀드가 도입, 전체 펀드 자산의 33%를 차지하는 수준으로 성장


해외 주요 퇴직급여상품 사례(소득非보장상품을 중심으로)

이자지급상품 사례

美 Fidelity, Bond Ladder : 퇴직자를 대상으로 하는 채권 투자전략으로 채권의 보유량을 잔존기간마다동일하게 유지, 위험을 줄이고 수익성을 평균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Ladder옵션을 적극적으로 추천
美 T.Rowe Price, CD Ladder : Smart Ladder CD라는 온라인 서비스를 통해 투자자는 1회 당 최소 $25,000의 금액으로 자동적으로 CD ladder를 구성, 총 투자금액에 따라 차등적인 금리가 제공

퇴직급여펀드 사례

美 Fidelity, Fidelity Income Replacement Fund : 투자원금 및 수익 중의 일부를 매월 정기적으로 지급하는 펀드로 매월 인출되는 금액은 물가상승률을 반영할 수 있는 방향으로 자동적으로 산출, 만기시점에는 계정에 남아있는 자산을 모두 투자자에게 지급하고 자동적으로 청산
美 Vanguard, Vanguard Managed Payout Fund : 원금은 보존하고 추가로 발생되는 자산운용수익만 활용하여 소득흐름을 창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특정한 만기시점이 존재하지 않는 펀드로 3가지 유형으로 구성, 유형별로 연간지급비율은 각각 3%, 5% 및 7%로 설정
美 Charles Schwab, Monthly Income Funds : Vanguard와 마찬가지로 원금 보존을 목표로 운영되는 퇴직급여펀드로 원하는 월지급액 수준에 따라 3가지 유형으로 구성, 연간지급비율은 금리 상황에 따라 변동
日 Kokusai, 글로벌 소버린 오픈 : 일본의 대표적인 분배형 펀드로 분배주기는 매월, 3개월, 1년3가지 결산 형식이 존재, 원금 보존을 목적으로 운용되며 자산운용 성과에 따라 매월 분배금이 변동
日 Nomura, US-REIT Open : REIT를 실질적인 주요 투자대상으로 하는 분배형 펀드로 수익금의 분배주기와 환헷지 여부에 따라 4가지 유형이 제공


결론 및 시사점

2010년 현재 약 712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14.6%를 차지하고 있는 국내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가 올해부터 본격화 될 예정
그러나 베이비붐 세대가 주요 노후소득원으로 의존하는 국민연금의 소득대체율은 40%대 초반에 불과한 수준으로 향후 별도의 노후소득보장 마련이 필수적인 상황
그러나 국내의 경우 은행의 정기예금 혹은 보험사의 즉시연금 상품의 활용은 보편화되어 있는 반면 증권사의 Bond/CD Ladder와 같은 이자지급 상품이나 퇴직급여펀드는 아직까지 고객들에게 생소
요약
Ⅰ. 검토배경

Ⅱ. 퇴직급여상품의 개념 및 유형

1. 퇴직급여상품의 개념
2. 퇴직급여상품의 유형
가. 소득非보장 상품
나. 소득보장 상품
다. 퇴직급여상품의 유형별 비교
※ 참고 : 프로그램 인출 방식

Ⅲ. 해외 퇴직급여상품 발전 동향

1. 주요국의 퇴직연금 지급방식

2. 미국
가. 발전 배경
나. 발전 동향

3. 일본
가. 발전 배경
나. 발전 동향

Ⅳ. 해외 퇴직급여상품 사례
(소득非보장 상품을 중심으로)

1. 이자지급상품
가. 美 Fidelity, Bond Ladder
나. 美 T.Rowe Price, CD Ladder

2. 퇴직급여펀드
가. 美 Fidelity, Fidelity Income Replacement Fund
나. 美 Vanguard, Vanguard Managed Payout Fund
다. 美 Charles Schwab, Monthly Income Funds
라. 日 Kokusai, 글로벌 소버린 오픈
마. 日 Nomura, US-REIT Open

Ⅴ. 시사점 및 결론

1. 국내 퇴직급여시장의 성장 가능성

2. 국내 퇴직급여상품 출시 현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