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8월 금통위 결과 분석 및 향후 전망

2014-08-18김완중

목차

금통위, 경제 심리개선을 통한 경기회복 지원, 정책공조 등을 고려해 기준금리 25bp인하
§§ 금통위는 경제주체의 심리위축에 따른 경기 하방위험에 대한 대응, 2기 경제팀의 경기부양론에
대한 정책공조 등을 고려해 15개월만에 기준금리를 25bp 인하
§ 한편 한은총재는 기자회견을 통해 금번 금리인하가 심리위축 장기화에 따른 성장 저해 가능성을
우려한 선제적 대응임을 강조했으며 완만한 경기 회복세에 대한 기존 전망은 고수


금번 기준금리 인하 이후 금리 동결기조가 상당기간 지속될 전망
§ 세월호 사고 이후 경기가 부진한 모습을 보였으나, 향후 성장경로는 훼손되지 않은 상황이며 전
방위적인 경기부양책 이후 경제주체 심리가 회복되고 실물경제는 완만한 회복세를 이어갈 전망
§ 한편 주택금융규제 완화와 결합한 금리인하는 가계부채 급증에 대한 우려 및 향후 부작용을 야기
할 수 있어 추가 금리인하 기대는 제한적
§ 아울러 과도한 금리조정은 경기순응성 확대 문제 및 향후 정책여력 축소 등의 부작용을 야기
§ 기축통화국이 아닌 소규모 개방경제로서 자본이동 가능성과 환율 안정, 독립적 통화정책을 동시
에 추구할 수 없는 상황에서 향후 美연준의 통화기조 변화 가능성은 통화정책운용의 부담요인


향후 금통위의 정책논의는 금리 추가 인하보다는 인상쪽에 초점을 맞출 전망
§ 전방위적인 경기부양책 이후 경제 심리가 개선되고 실물경제는 완만한 회복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대외부문의 충격이 없는 한 금리 동결기조는 상당기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
§ 경제는 잠재성장률 수준의 성장세를 지속하고 내년 하반기에 들어 GDP 갭이 플러스로 전환되면
서 금리 정상화의 기본여건이 충족됨에 따라 금통위는 내년 2분기 중 기준금리 인상 시점에 대
한 논의를 진행할 것으로 전망


한편 추가 기준금리 기대 약화에도 불구, 단기간내 금리 변동성 확대는 기대難
§ 금통위 이후 채권시장내 추가 기준금리 기대는 약화되었으나 경제 지표 확인 전까지 시중금리의
반등 압력은 제한적인 수준에 그칠 것
§§ 한편 연준의 출구전략 논의 확대를 계기로 장기금리의 상승압력이 부각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단기금리는 기준금리와 연동됨에 따라 장단기 스프레드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

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