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통위 분석자료
전체 (164)
-
2023.5월 금통위 결과 분석 및 향후 전망
금통위, 3회 연속 기준금리 동결을 단행하고 올해 및 내년 韓 성장률 전망 하향조정근원물가에 대한 정책당국의 경계감이 확대되며 韓 기준금리는 연말까지 동결 전망2023-05-26윤석진 -
2023.4월 금통위 결과 분석 및 향후 전망
■ 금통위, 대외 금융 리스크로 인한 정책 불확실성과 물가 위험을 감안해 기준금리 동결■ 시장의 조기 금리 인하 기대에도 불구, 금통위의 동결 기조는 상당기간 이어질 전망2023-04-12윤석진 -
2023.2월 금통위 결과 분석 및 향후 전망
[금통위, 기준금리 동결을 결정했으나 물가 안정에 중점을 둔 통화정책 의지는 여전]■ 2월 금통위는 대외 여건의 높은 불확실성에도 불구, 향후 물가 경로가 점차 낮아질 것으로 전망되는 점과 그간의 금리인상 파급효과 등을 고려해 기준금리 동결 결정(3.5%)- 금통위원 1명(조윤제 위원)은 기준금리 0.25%p 인상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을 제시■ 경제전망에서는 IT 경기 부진에 따른 수출 감소 및 소비 회복세 약화로 ′23년 성장률을 기존 전망대비 0.1%p 하향 조정(1.7% → 1.6%)- 물가의 경우 기존 전망치 대비 낮은 유가($94 → $83) 등에 따라 0.1%p 하향조정(3.6% → 3.5%)■ 통방문에서는 향후 통화정책 여건의 불확실성이 높은 만큼 긴축 기조를 ‘상당 기간’ 이어가면서 추가 인상 필요성을 판단해 나갈 것임을 명시■ 한은 총재, 2월 금통위의 금리 동결이 기준금리 인상 기조가 끝났다는 의미가 아님을 강조- 총재는 금번 기준금리 동결 결정이 더 이상의 금리 인상이 없을 것임을 의미하지 않으며, 시간을 두고 인상 여부를 판단하는 일반적 방식으로의 회귀임을 강조- 최종 기준금리에 대한 금통위 내 의견 분포는 3.50%에서 종결 의견 1명, 당분간 3.75% 가능성 을 열어두자는 의견이 5명으로 분포되어 있음을 언급[향후 추가 금리 인상 여부는 물가 데이터에 달려있으나, 현 시점에서 가능성 제한적]■ 총재 발언은 매파적으로 해석될 수 있으나, 이는 정책 여건에 불확실성이 높음에 따른 불가피한 선택으로 판단되며, 경제전망에서 성장률 및 물가 전망을 하향조정한 점에 주목할 필요- 또한 연준의 추가 긴축 강화 우려에도 불구, 외환 부문 리스크에 대한 경계감보다는 대내 여건 및 물가 경로에 중점을 두고 있음을 시사한 점도 추가 인상 가능성을 약화■ 中 리오프닝과 美 고용시장, 러우 전쟁 등의 물가 불확실성은 잔존하나 기저효과 등을 감안할 때 1/4분기 이후 물가 위험은 점차 낮게 평가될 것으로 판단- 향후 추가 금리 인상 여부는 한은의 물가 전망 경로와 실제 물가 데이터 간의 부합 여부가 좌우할 듯■ 다만, 하반기 국내 경기의 회복 전망 및 연말까지 목표 수준(2%)을 상회하는 물가 경로 전망, 美 긴축 장기화 가능성 등은 한은의 연내 금리 인하 가능성을 낮추는 요인■ 시장금리는 한은의 조기 금리 인하 기대가 약화되고 긴축 기조 장기화 가능성이 커짐에 따라 당분간 상/하단 폭이 다소 제한된 상태에서 대외 변수에 의해 등락을 이어갈 전망2023-02-24윤석진 -
2023.1월 금통위 결과 분석 및 향후 전망
금통위, 추가 인상 가능성 배제하지 않으나 경기/금융안정에 대한 유의 수준은 확대향후 국내 통화정책은 물가 추가 대응보다 과잉긴축을 우려하는 신중론 부각될 전망2023-01-16윤석진 -
2022.11월 금통위 결과 분석 및 향후 전망
11월 금통위, 경기 둔화와 단기금융시장 위축을 감안해 0.25%p 기준금리 인상 결정‘물가안정’ ↔ ‘경제성장/금융안정’ 사이 통화정책 목표 상충(trade-off) 문제 심화2022-11-25윤석진 -
2022.10월 금통위 결과 분석 및 향후 전망
■ 금통위, 환율 상승에 따른 물가 압력과 외환 리스크에 대응해 두 번째 빅스텝 결정■ 한은, 인플레이션 고착화 위험 감안 시 23.1Q까지 금리인상 이어갈 전망2022-10-13윤석진 -
2022.8월 금통위 결과 분석 및 향후 전망
■ 금통위, 인플레이션 대응을 위해 4회 연속 기준금리 인상(2.25%→2.50%)■ 금년 말 한은 기준금리 3.0%로 예상, 내년 물가 흐름에 따라 추가 금리인상 가능2022-08-26김수정 -
2022.7월 금통위 결과 분석 및 향후 전망
금통위, 인플레이션이 가속화되고 있음을 감안해 사상 처음으로 빅스텝 인상 단행한은, 금년 중 남은 세 번의 회의에서 모두 25bp 인상 후 내년은 금리 동결 전망2022-07-14김수정 -
2022.5월 금통위 결과 분석 및 향후 전망
■ 금통위, 기대인플레이션 관리의 중요성 피력하며 4월에 이어 추가 금리인상 단행■ 연말 기준금리 2.25%, 내년에는 연준 긴축속도 조절과 경기둔화로 1회 인상 예상2022-05-27김수정 -
2022.4월 금통위 결과 분석 및 향후 전망
■ 금통위, 한은 총재 공석에도 불구하고 인플레이션 우려로 1.5%로 기준금리 인상■ 한은 올해 2회 추가 인상 예상하나, 5월 연속 인상시 연말 기준금리 2.25%도 가능2022-04-15김수정 -
2022.2월 금통위 결과 분석 및 향후 전망
금통위, 올해 물가 상승률을 대폭 상향 조정했음에도 불구, 만장일치 금리 동결금년 1.75%까지 금리인상 예상되며 내년에도 한은의 금리인상 시도 계속될 전망2022-02-25김수정 -
2022.1월 금통위 결과 분석 및 향후 전망
■ 금통위의 추가 금리인상으로 기준금리는 코로나 이후 22개월 만에 위기 이전 복귀■ 당분간 국내 통화정책은 휴지기 예상되나 내년 기준금리 2% 도달 가능성 증대2022-01-14김수정